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

영천 귀애정(永川 龜厓亭)과 귀애고택 귀애정은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龜湖里)에 위치한 조선시대 정자입니다. 현재 화남면 행정복지센터와는 직선거리로 약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2013년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귀애정과 귀애고택은 같이 있습니다. 이곳은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조선시대의 선비의 운치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귀애정 조선후기 문신인 조극승(1803~1877)을 추앙하기 위해 그의 동생 성재 조규승이 지은 정자입니다. 두 사람은 많은 관직을 지냈으나 말년에는 고향에서 지내며 후학을 가르치는데 힘썼던 인물들입니다. 조극승은 귀호리에서 조경섭(曺暻燮)의 맏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순조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돈령부 도정을 역임하고, 공조참의를 제수받은 인물입니다. 귀애정이 .. 2023. 4. 17.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경주향교는 경주에서 핫플레이스 중 한 곳인 경주 교동 교촌마을에 있습니다. 바로 옆에는 교동최씨고택, 동쪽으로는 월성, 북동쪽으로는 경주 계림, 북쪽으로는 경주 동부사적지대, 남쪽으로는 신라 때 다리를 현대에 복원하여 2018년부터 오픈한 월정교(月淨橋)가 있습니다.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이면서 향교 안에는 3개의 보물이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경주향교(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 향교는 조선시대부터 나라에서 만든 교육기관입니다. 향교의 건물배치는 배향공간과 강학공간이 중심이 되는데, 문묘, 명륜당, 재, 그리고 기타 부속건물들이 있습니다. 향교 건물배치는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지형여건에 따라서 전묘후학(배향공간이 전묘, 강학공각이 후면), 전학후묘(강학공간이 전면, 배향공간이 후면).. 2023. 4. 17.
경주 안강읍 옥산서원 무변루 명문기와(慶州 安康邑 玉山書院 無邊樓 銘文瓦)roof-end tiles, 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 옥산서원은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문화재이자 명소입니다. 최근 옥산서원의 무변루가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래서 무변루 위에 있는 명문기와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경주 옥산서원(慶州 玉山書院) 옥산서원은 오래전 그 가치를 인정받아 이미 1967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옥산서원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李齊閔)이 지방 유림의 뜻에 따라 창건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다음 해 임금에게 ‘옥산’이라는 이름을 사액받게 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헌종 4년(1838) 구인당(求仁堂)은 화재를 입었습니다. 문인 무변루(無邊樓)는 1572년에 서원 초창 당시부터 누각으로 건립되었으며, 납청루(納淸樓)라 불렸다고 합니다. 이후 노수.. 2023. 4. 13.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永川 慶州金氏 知事公宗宅)과 임고면 황강리 남강정사(南岡精舍) 영천시에는 조선시대 고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 중 임고면 황강리(黃岡里)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과 남강정사를 답사해 보았습니다.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은 1999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37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곳 지사공종택에서 남쪽으로 100m 정도 떨어져 있는 남강정사도 함께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은 조선 중종 때 중추부지사를 지낸 김흡(金潝)의 종가로 원래는 김흡이 지었으나, 화적 떼에 의해 없어진 것을 19세기 초 자손들이 다시 지었다고 합니다. 대문은 솟을대문입니다. 뒤쪽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노항(魯巷) 김연(金演, 1552∼1592)의 사당과 신도비가 있습니다. 마을 입구에는 김연의 아들 김취려가 강학했던 .. 2023. 4. 11.
경주 선덕여왕릉(慶州 善德女王陵, Tomb of Queen Seondeok, Gyeongju) 경주시 낭산에 위치한 선덕여왕릉을 보겠습니다. 앞서 여러 번 밝혔듯이 신라에 있어서 낭산은 매우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그래서 선덕여왕릉, 사천왕사지, 능지탑(陵只塔), 황복사지 등 여러 유적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은 낭산 남쪽의 해발 99.5m 정도의 낮은 구릉 정상부에 위치합니다. 외형은 원형봉토분으로 밑둘레 부분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2~3단 정도 쌓았습니다. 이는 1949년에 보수한 것이라 합니다. 난간석 등 장식물은 없습니다. 그리고 내부 구조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봉분의 외부 형태로 보아 굴식 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이라 추정됩니다. 신라왕들의 무덤 위치에 관해서는 왕릉 내에서 혹은 주변에서 왕릉 이름이 새겨진 지석이나 유물, 명문이 새겨진 것이 없어서 상당수 추측에 의한.. 2023. 4. 9.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 사천왕사지는 행정구역상 경주시 배반동에 위치합니다. 이 유적의 공식명칭은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입니다. 경주시를 방문하면 역사나 문화재에 관심 있는 분들은 신라의 성산(聖山)인 낭산(狼山)을 방문하게 됩니다. 낭산은 낮은 구릉에 불과한 아주 작은 산인데, 이 곳에는 선덕여왕릉, 사천왕사지, 능지탑지, 황복사지 삼층석탑(구황동 삼층석탑) 등 여러 유적이 모여있는 곳입니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의 대표적 호국사찰인 사천왕사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경주 사천왕사지 경주 사천왕사지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삼국사기 보다는 삼국유사에서 많은 사실 내용이 전하고 있습니다. 사천왕사지를 신라의 대표.. 2023. 4. 9.
박물관 정의(Museum Definition) 박물관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박물관의 정의는 한번 정해지면 영구적인 것이 아닙니다.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총회에서 바뀌기도 합니다. 지금 올리는 박물관의 정의는 2023년 4월 현재까지 적용되는 박물관의 정의입니다. ICOM 한국위원회(ICOM Korea) ICOM 한국위원회에 올려져 있는 2007년 한글판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박물관 윤리강령” 에는 박물관과 박물관직 종사자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 박물관(Museum) 박물관은 사회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공중에게 개방되는 비영리의 항구적인 기관으로서, 학습과 교육, 위락을 위하여 인간과 인간의 환경에 대한 유형 ․ 무형의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교류, 전시한다. 박물관직 종사자(Museum Pofessional).. 2023. 4. 8.
경주 보문사지(普門寺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보문사지에 대하여 포스팅합니다. 보문사지의 공식 명칭은 '경주 보문리사지' 였다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 2011년에 '경주 보문동 사지(慶州 普門洞 寺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라 바뀌었습니다. 주변에 진평왕릉과 설총묘가 있습니다. 정확히는 진평왕릉에서 남쪽으로 약간 동쪽에 치우쳐(남동쪽) 약 770m가량 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도보도 괜찮지만, 차를 타고 이동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경주 보문동 사지의 현황 경주 보문동 사지는 보문들의 평지에 위치하며, 사적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가람배치를 살펴보면, 금당을 중심으로 앞쪽으로 동서 목탑과 뒤쪽으로 방형으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동서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 2023. 4. 5.
경주 진평왕릉(眞平王陵) 진평왕릉의 현재 모습과 진평왕 대 있었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왕릉은 현재 행정구역상 경주시 보문동에 위치합니다. 이곳에는 보문들이라고 하는 넓은 평지가 있는데, 평지 중에서도 약간 높은 부분에 위치합니다. 진평왕릉의 현황 이 봉분은 진평왕의 무덤이라 추정되어 사적으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무덤 봉분의 높이는 약 7~8m라 합니다. 내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라 추정됩니다. 진평왕 대 있었던 일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 재위기간 579~632)은 무려 56년 동안 왕을 했습니다. 특이한 점은 진평왕의 아버지는 진흥왕의 첫째 아들임에도 왕이 못되고,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 제25대 진지왕(眞智王)이 됩니다. 그러나 진지왕은 불과 4년 만에.. 2023. 4.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