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한국전통문양5 신라 전(塼) 문양의 용어 설명 오늘은 신라 전돌 용어에 대하여 살펴볼게요. 신라시대 부전(바닥전)이나 벽전은 문양이 매우 아름답습니다. 특히 부전은 사람이 밟고 다니기 미안할 정도로 아름다운 점이 특징이죠. 전의 사용에 따른 분류 전은 크게 부전(敷塼)과 벽전(壁塼)으로 나눌 수 있겠죠. 부전은 요즘에 사용되는 보도블록(步道block)이라 할 수 있고, 벽전은 담장이나 건축물의 벽에 쓰는 벽돌(甓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사람이 사용하는 생활시설에 사용되는 전(대표적으로 건축물)전과 특수목적으로 무덤에 사용되는 무덤전, 탑에 사용되는 탑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의 형태에 따른 분류 전은 평면형태에 따라서 방형전, 장방형전, 삼각형전 등 생긴 모양에 따라서 부를 수 있죠. 또 사각형이나 삼각형 외에 특수하게 만든 전 모양도 .. 2023. 2. 12. 막새 용어 오늘은 암막새의 덩굴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막새에는 암막새와 수막새 2종류가 있어요. 그리고 막새는 드림새와 등기와를 접합시켜 제작하죠. 막새의 구조적 용어보다는 암막새 덩굴문 용어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이전에는 암막새에 표현된 덩굴무늬를 당초문(唐草文, 唐草紋)이라 했었는데, 최근에는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취지에서 덩굴문, 덩굴무늬라 많이 사용합니다. 덩굴무늬는 넝쿨무늬라고도 하죠. 그런데 덩쿨문이란 용어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덩쿨문이란 단어는 바른말이다 틀린말이다 딱 단정할 수 없지만, 많이 사용하지는 않아요. 덩굴문의 세부용어 암막새에 표현된 덩굴문의 세부를 표현할려면 아래 예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요. 주지(主枝) : 주줄기 분지(分枝) : 갈래줄기 단지(短枝) : 주지 혹은 분지에서 홀로.. 2023. 2. 2. 분황사 출토 전돌 분황사에서 출토된 전돌을 연달아 배치하면 이런 모습이 된답니다. 2023. 1. 31. 쌍록문 조로2년명 전돌 측면에 있는 쌍록문인데, 연결하면 이런 모습이 된답니다. 원래는 1단으로 배치해서 건축물 기단 상부나 보도의 측면 1단만 보이는 것이 맞지만, 벽석 문양으로 가능할지 쌓아 연결해 봤어요.^^ 2023. 1. 31. 조로2년명 쌍록보상화문전 조로2년명 쌍록보상화문전은 신라 전돌 자료 중 가장 중요한 유물입니다. 먼저 윗면에는 보상화문이 시문되어 있고, 측면에는 쌍록문(화려한 덩굴문 사이에 사슴 두 마리가 마주보며 배치된 문양)이 시문되어 있습니다. 그 옆에 또 명문이 있습니다. 현재 신라 전돌 중에 연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기록을 남기고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옆면에 "조로2년한지벌부군약소사3월3일작강 (調露二年 漢只伐部君若小舍 三月三日作康...)"이라고 새겨져 있는데, 조로2년(調露二年)은 중국 당(唐)나라 연호로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 재위 시절로 680년에 해당합니다. 해석된 내용은 '조로 2년(680년)에 한지벌부의 소사라는 벼슬의 군약이라는 인물이 3월 3일에 만들었다'라는 내용입니다. 명문에 보이는 한지벌부(漢只伐部)는 당시 신.. 2023. 1. 3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