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

경주 월정교(月淨橋 Gyeongju Woljeonggyo Bridge) 경주시 월성(月城, Wolseong Palace Site)의 서남쪽, 남천(南川)에 월정교지가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교촌마을로 이어지는 일정로를 따라가면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경주 춘향교지와 월정교지라는 사적지입니다. 월정교는 원래 교각터만 남아있는 것을 조사과정에서 교각의 아래쪽 19m 지점에서 월정교의 목조가구가 노출되어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교각과 누교, 다리 양쪽에 문루를 갖춘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남쪽 문루에는 김생의 글씨체를 따온 현판이 북쪽 문루에는 최치원의 글씨체를 따온 현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경주 월정교의 역사삼국사기에는 신라 경덕왕 19년(760)에 궁의 남쪽 문천(蚊川)에 월정(月淨), 춘양(春陽) 두 다리를 놓았다는 .. 2024. 9. 7.
음성 한독의약박물관(韓獨醫藥博物館, Handok Medico-Pharma-Museum) 충북 음성에 위치하는 한독의약박물관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충북 음성에는 전국에 널리 알려진 관광지가 많지 않지만, 볼만한 여러 관광지 중 그나마 한독의약박물관이 가장 볼거리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독의약박물관의 연혁 한독의약박물관은 한독그룹에서 만들어 운영하는 박물관입니다. 한독은 서울에서 1954년에 창립된 회사입니다. 이후 1964년 한독약사관(韓獨藥史館)을 서울 상봉동 주식회사 한독약품공업주식회사(현 한독)에 설립하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최초의 기업 박물관이자 의학 전문박물관이 되었습니다. 이후 1974년 독립건물이 마련되었고, 1995년 공장을 충북 음성으로 이전함에 따라서 현재와 같은 한독의약박물관이 되었습니다. 박물관 시설 박물관은 2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크게 1층은 국제전.. 2023. 11. 11.
경주 분황사(慶州 芬皇寺, Bunhwangsa Temple, Gyeongju) 경주 분황사는 구황동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의 사찰로서 사적입니다. 당시 모습을 완벽하게 간직하진 않았지만, 유명한 분황사 모전석탑이 남아 있습니다. 분황사는 역사적으로도 유명할 뿐 아니라, 여러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에 경주시를 여행한다면, 빼놓지 않고 꼭 방문해야 할 유적지 명소입니다. 분황사의 역사 분황사는 선덕여왕 3년(634년)에 세워진 사찰입니다. 또 모전석탑 역시 이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면, 신라 탑 중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분황사 역시 신라의 7곳의 전불시의 가람터라고 얘기되고 있습니다. 전불 시의 칠처가람은 흥륜사, 영흥사, 황룡사, 분황사, 영묘사, 천왕사, 담암사를 말합니다. 또한 신라의 대표적인 화가인 솔거가 분황사의 관음보살을 그렸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장스님과.. 2023. 7. 8.
경주 첨성대(慶州 瞻星臺, Cheomseongdae Observatory, Gyeongju) 첨성대의 입지 첨성대는 과거 신라의 궁성이었던 월성(月城)의 서북쪽에 위치합니다. 이곳은 현재 세계문화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 월성지구에 속합니다. 지형적으로는 경주분지에 속하며, 편평한 대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평지에서도 약간 높은 지역에 위치합니다. 첨성대의 동북쪽에는 동궁과 월지(안압지)가 위치하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인왕동고분군을 비롯하여 세계문화유산지구 대릉원지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신라 당시의 모습을 추정해 보면, 월성 서쪽과 서북쪽에 형성된 묘역군과 궁궐의 사이의 넓은 대지 위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굴조사를 통해서 신라 당시 첨성대 주변에는 초석을 사용한 건물지들이 자리잡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성대의 역사 첨성대는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 2023. 7. 7.
신라의 수중릉(水中陵, submerged tomb of silla dynasty)-문무대왕릉, 효성왕릉, 선덕왕릉) 문무대왕(文武大王), 효성왕(孝成王), 선덕왕(宣德王)의 무덤 제30대 문무왕(文武王, 661~681)은 동해의 호국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는 유언에 따라 화장하여 동해안에 능을 만들었습니다. 경주시 감포 봉길 앞바다의 대왕암이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입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이 죽으면서 불교식 장례에 따라 화장하고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합니다. 그의 아들 신문왕은 동해 근처에 감은사(感恩寺)를 세워 법당아래 동해를 향한 배수로를 만들어 용이 된 문무왕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문무대왕릉(대왕암)은 육지와 약 200m 떨어진 자연바위입니다. 해수면 위로 동서 35m, 남북 36m, 높이 5.3m 정도 노출되어.. 2023. 6. 27.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慶州 高仙寺址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from Goseonsa Temple Site, Gyeongju) 1975년 경주시 상류에 덕동댐을 지으면서 덕동댐 수몰지구 내 암곡동에 있던 고선사지가 발굴조사되었고, 이곳의 문화재들이 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어 보전되고 있습니다. 고선사(高仙寺) 신라의 옛 수도 왕경(지금의 경주)에 지어진 사찰들은 상당수 창건시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고선사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습니다. 다만 기록에 원효스님(元曉, 617~686)이 고선사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서, 7세기 후반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 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일제강점기 때 고선사서당화상비(高仙寺誓幢和尙碑)가 발견되어 더욱 원효스님과 관련 있는 사찰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때 발견된 고선사서당화상비는 현재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해방 이후 발견된 비편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 2023. 6. 18.
경주 창림사지(慶州 昌林寺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예로부터 “사사성장 탑탑안행(寺寺星張 塔塔雁行)”이라 표현할 정도로 많은 사찰과 탑들이 많았습니다. 그중 남산 서록에 있는 창림사는 위치나 탑의 모습을 보면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 중에 하나였습니다. 창림사의 역사 창림사가 정확히 언제 창건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다만, 신라 때 인물 김생(金生)이 창림사비를 쓴 것을 원나라의 조자앙이 찬양했다는 내용이 전해옵니다. 김생(金生)이 711년에 출생한 인물이며, 80이 넘게 살았으며, 그의 글씨는 명필로 전해집니다. 그러므로 창림사도 8세기경에는 존재했던 사찰임에 틀림없습니다. 그 후 폐사 내용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삼국유사에서는 창림사터가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궁실이라 전하고 있습니다. 이 말이 사실이라면 신라 .. 2023. 6. 11.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慶州 南澗寺址 幢竿支柱, Flagpole Supports at Namgansa Temple Site, Gyeongju) 경주 남산의 북서쪽 일대에는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고, 이곳에서 남산 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장창골이라고 합니다. 장창골을 통해 남산 북쪽의 가장 첫 번째 봉우리인 해목령(해발 281m)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해목령에도 신라 때 지어진 남산성지가 위치합니다.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는 평지에 위치하고, 1987년 3월 9일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높이는 3.6m이고 양쪽 지주가 손상 없이 잘 남아 있습니다. 특이하게 지주 맨 위쪽 내측에는 ‘十’ 자형의 홈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부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이 제작된 당간지주입니다. 아쉽게도 남간사(南澗寺)의 정확한 위치나 역사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저 󰡔삼국유사󰡕에 남간사의 승려 일념(一念)이 이차돈의 순교에 대한 상.. 2023. 6. 11.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Gyeongju) 경주시의 유명한 문화재들은 경주 도심 혹은 남쪽이나 동쪽(석굴암, 불국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쪽에도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같은 중요 문화재가 있으며, 이 석탑은 1996년 해체수리되어 중요한 유물(사리기)이 출토된 곳이기도 합니다.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의 현황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은 일제강점기부터 주목되어 1935년에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었고, 1962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국보 제39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높이 9m로 경주에서는 특이하게 5층으로 제작된 석탑입니다. 경주 감은사지 동서 3층석탑, 고선사지 삼층석탑,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과 함께 대형 석탑입니다. 나원리 오층석탑이 서 있는 절터의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예부터 난원사지(蘭原寺址)로 알려졌는데, .. 2023. 6.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