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

경주 망덕사지(望德寺址) 경주시의 고즈넉한 장소 망덕사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망덕사지 바로 근처에 사천왕사지가 있습니다.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나당전쟁 당시 신라의 호국사찰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우리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망덕사는 당을 속이기 위해 지은 사찰이라 그런지 사천왕사지 보다는 상대적으로 관심에서 멀어지나 봅니다. 그러나 망덕사(望德寺) 또한 어떤 의미에서는 호국사찰이라 할 수 있고, 삼국사기 신문왕 5년(685)에 완성되었다고 전하는 사찰이므로 우리나라 역사에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 유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망덕사지의 위치와 현황 망덕사지는 행정구역상 경주시 배반동에 위치합니다. 낭산(狼山) 기슭에 위치한 사천왕사지에서 경주시와 울산시를 잇는 산업로 바로 건너가 망덕사지입니다... 2023. 4. 1.
가야(伽倻)왕 계보 가야왕의 계보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삼국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와 대등한 힘을 가진 국가가 있었는데, 바로 가야(伽倻)입니다. 삼국은 고대국가로서 자리 잡았고, 가야는 신라에 병합되어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가야연맹체라는 용어로 부릅니다. 가야에 대해서는 고대국가로 발전하지 못해서인지 많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또 여러 문헌에 나오는 국명도 가야(伽耶), 가라(加羅), 구야(狗邪), 가락(駕洛) 등으로 전해집니다. 처음 가야의 중심은 수로왕이 시조인 금관가야였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러다 400년 고구려 남정을 통해 금관가야의 힘이 약해지고, 대가야가 가야의 중심이 됩니다. 그래서인지 금관가야의 왕 순서는 삼국유사에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금관가야 왕 순서 삼국.. 2023. 3. 28.
경주 굴불사지 사면석불(掘佛寺址 四面石佛)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경주의 유명한 유적 굴불사지 사면석불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바위 4면에 불상을 새긴 예는 우리나라에 많지 않습니다. 더더군다나 이 굴불사지 사면석불은 규모면에서도 매우 큰 사면석불(四面石佛)입니다. 그래서 경주에 오면 한 번은 볼만한 유적입니다.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예전에는 굴불사지 사면석불이라 부르기도 했는데, 문화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이라 공식 명칭이 바뀌었네요. 예로부터 신라인들은 산을 숭배하는 사상이 있었는데, 바로 오악사상(五岳思想)입니다. 신라 오악은 중악 경주 낭산(狼山), 동악 토함산(吐含山), 서악.. 2023. 3. 26.
경주 서출지(書出池)와 이요당(二樂堂) 경주시에 여행하기 좋은 곳, 서출지와 이요당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출지와 이요당은 경주 남산 동쪽의 남산동에 위치합니다. 주변에는 헌강왕릉, 정강왕릉, 통일전, 무량사,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 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등 볼거리가 많은 곳이기도 합니다. 서출지(書出池) 서출지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곳입니다. 서출지는 옛날 기록으로 보아 신라시대부터 있던 연못입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편(紀異篇) 사금갑(射琴匣) 조에 이 연못과 관련된 설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신라 21대 소지마립간(소지왕(炤智王), 재위기간 458~479)이 488년 정월 보름날 행차에 나설 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말했습니다. "이 까마귀 가는 곳을 살피십시오" 왕은 장수를 시켜 따라가게 했습.. 2023. 3. 26.
중국행정구역(中國行政區域) 중국의 행정구역(中國의 行政區域) 중국의 행정구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군이 시가 된다던가, 면이 동이 된다던가, 지번주소를 사용하다가 도로명주소를 사용하고, 시군병합, 시(市) 대 시 병합 등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현재도 행정구역명이 변하고 있습니다. 중국도 마찬가지로 행정구역명이 변하고 있고, 특히 하위 주소는 계속 변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중국 행정구획의 상위 큰 틀은 유지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역사와 관련 있는 중국역사나 중국미술사,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이 위치한 장소를 알려면 별도로 중국행정구역을 공부해야 합니다. 그래서 중국행정구역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도를 그려 올려 봅니다. 중국의 행정구역 중국의 행정구역은 22개 성(省, 대만을 포함한 경우, 23개 성).. 2023. 3. 19.
중국 역사 연대표 중국의 역사 연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중국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2070년부터 시작한 하(夏)왕조부터 시작하여, 상, 주, 춘추전국시대, 진, 한, 삼국(위, 촉, 오), 진, 남북조시대, 수, 당, 오대십국(五代十國), 송, 원, 명, 청나라 순으로 왕조가 바뀌게 됩니다. 중국의 역사 황하문명은 기원전 6000년~5000년경부터 황하 중, 하류 지역에서 발생한 신석기 문화를 말합니다. 이후 역사서에는 중국 성립에 관한 전설이 있습니다. 중국 전설에는 삼황오제(三皇五帝)가 있었다고 합니다. 즉, 이상적인 3명의 황제와 5명의 제왕을 말하며, 이들이 불의 사용, 고기잡이와 수렵, 경작 등을 가르쳐 문명이 시작되었다고 봅니다. 상(商, 기원전 1600~기원전 1046)은 은(殷)나라라고도 합니다. 은.. 2023. 3. 18.
고려시대 연호(고려시대 사용 연호) 고려시대에 사용한 연호를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고려 자체 연호도 사용하였고, 송나라와 원나라의 연호도 사용했습니다. 고려는 1대 태조부터 4대 광종 때까지는 자체연호를 사용합니다. 이 때는 중국이 당나라가 멸망한 후 5대 10국이라는 나라들이 흥망성쇠를 할 때이기 때문입니다. 오대십국(五代十國)은 당이 멸망한 907년부터 979년 송나라가 전국을 통일한 시기까지를 말합니다. 송나라가 중원지역을 통일한 후에도 북쪽에는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遼, 916~1125)와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金, 1115~1234)가 차례대로 세력을 유지했고, 이후 몽골 즉 원(元)이 등장하게 됩니다. 고려시대 자체 연호 고려시대 자체 연호로는 천수(天授)는 고려 태조 때 정한 918년부터 949년까지의 연호입니다. 광덕.. 2023. 3. 14.
발해(渤海) 왕 계보-순서 발해 왕의 순서를 재위기간을 기준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발해는 698년부터 906년까지 228년간 15대 왕이 있었습니다.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계 유민과 말갈족으로 구성된 국가이고, 지리적으로는 한반도 북부, 만주, 연해주(러시아 연방 시베리아 동해의 연안에 있는 지방 이름) 일대를 점유했던 국가로서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회복하고, 더 넓은 영토를 가졌던 나라입니다. 발해는 698년 대조영(大祚榮)이 건국했습니다. 지금의 지린성(吉林省) 둔화현(敦化縣) 동모산(東牟山)에 성을 쌓고 도읍을 정했습니다. 국호는 진(震)이라 하였고, 이후 713년에 국호를 발해로 바꿨습니다. 발해에 대해서는 사료가 부족해서 10대 선왕 이후부터는 묘호조차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발해의 영토 현재 역사학계에서는 발해의 영토.. 2023. 3. 11.
고려시대(高麗時代)왕 계보-순서 고려시대 왕의 순서를 기년순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고려(高麗)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474년간 왕씨(王氏)가 34대에 걸쳐 집권했던 왕조입니다. 고려 신라 말 신라의 중앙집권 능력이 상실되자, 후삼국이 생겼습니다. 후삼국의 대립 가운데 왕건(王建)에 의해 고려가 세워지게 됩니다. 왕건은 918년 고려를 세우고, 935년 신라의 항복을 받아내었고, 936년 후백제를 멸망시켜 고려를 완성하게 됩니다. 왕건의 훈요10조(訓要十條)에서 알 수 있듯이 종교적으로 불교를 숭배했습니다. 그리고 중앙집권적인 귀족정치를 이어나갔습니다. 그러나 문벌귀족정치에 염증을 느낀 무신들에 의해 무신정권(武臣政權, 1170~1270)이 성립되어 왕권이 약화되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대외적으로는 중국 원나라가 성장해 1231년.. 2023. 3.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