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慶州 南山 列岩谷 磨崖佛像, Standing Buddha Carved on a Rock at Yeolamgok, Gyengju)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은 열암곡 석불좌상을 복원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됐습니다. 열암곡 마애불상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열암곡 마애불상의 위치 열암곡 마애불상이 위치한 곳은 행정구역상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산 119번지입니다. 경주 남산의 평면형태는 남북으로 긴 타원형에 가깝습니다. 마애불상은 남쪽의 노곡리 해발 320m 정도에 위치합니다. 차량이 마애불까지 가지 못하고 아래쪽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직선거리로 약 700m 정도 산을 올라야 합니다. http://kko.to/y437bYWcDH 열암곡마애불상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열암곡 마애불상 발견 전 모습 이곳은 남산 백운계로 이어지는 소계곡인 열암곡이며, 새갓곡이라고도 합니다. 원.. 2023. 6. 4. 문화재 조사란? 우리가 흔히 문화재 조사라고 하면 문화재 발굴조사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하는데요. 문화재 조사와 매장문화재 조사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합니다. 문화재 조사 문화재 조사는 광의의 단어로 모든 종류의 문화재와 관련된 조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유형문화재에 대한 조사, 무형문화재에 대한 조사, 기념물에 대한 조사, 민속문화재에 대한 조사 등 대상도 넓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 있는 문화재를 조사하는 것도 문화재 조사입니다. 또 다른 구분으로 설명드리면, 동산문화재 조사, 부동산문화재 조사도 문화재 조사의 예입니다. 또 일례로 지정문화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조사도 문화재 조사이기 때문에 매장문화재 조사와는 구분해서 사용하는 게 맞습니다. 매장문화재 조사 매장문화재란 말 그대로 유형문화재.. 2023. 6. 1. 경주 황룡사지(慶州 皇龍寺址, 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고대국가 신라는 불교가 공인된 이후 불교가 국교가 되면서, 철저히 불교교리에 의해 운영되던 국가였고, 당시의 수도였던 경주시에는 황룡사가 세워졌습니다. 황룡사는 규모면에서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신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찰이었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많은 기록을 남기고 있고, 실제 현대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서 그 내용이 증명되기도 하였습니다. 황룡사의 중요한 역사내용들을 요약 정리했습니다. 황룡사 건립 진흥왕 14년(553)에 월성 동쪽, 용궁 남쪽에 새로운 궁궐을 지으려고 하였으나, 이곳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나 궁궐 짓기를 멈추고, 사찰로 고쳐 지으면서 황룡사라 이름을 지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전합니다. 원래 황룡사지는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이 있는 곳으로 가섭불이란 .. 2023. 5. 23. 경주 금장대(金藏臺) 금장대는 경주시의 서천(형산강)과 북천이 만나는 천변의 나지막한 구릉에 위치한 누정입니다. 이 구릉에는 1994년도에 발견된 경주 석장동 암각화도 있습니다. 금장대는 원래 터만 남아있는 곳을 2012년 복원한 것입니다. 경주의 ‘삼기팔괴’로 전해져 오는 금장대의 유래와 가치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금장대의 유래 금장대는 경주시민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곳이지만, 타지인들에게는 낯선 이름입니다. 이 금장대란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것은 김동리 선생님의 소설 ‘무녀도’가 널리 알려지면서부터 일 것입니다. 금장대는 조선시대 문집에 등장하는데, 15세기 무렵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리고 금장대(金藏臺)의 가운데 ‘장’ 자의 한자가 감출장자 외에도 어른 장(丈), 풍성할 장(莊), 꾸밀 장(粧) 등의 .. 2023. 5. 14. 고고미술사학과(考古美術史學科) 고고미술사학과에서는 무엇을 전공하는지 정보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어느 대학교에 고고미술사학과가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고고미술사학과와 유사한 성격의 학과들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고고미술사학과 내지 유사학과에서 공부하면, 학예연구사, 즉 박물관 큐레이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관심이 많은 학과입니다. 고고미술사학과란 고고미술사학과에서는 고고미술사학(Archaeology and Art history)을 연구합니다. 고고미술사학을 하나의 학문 단위로 볼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고고학(考古學)과 미술사학(美術史學)의 세부 전공으로 나누어집니다. 고고학은 인류가 남겨놓은 유적․ 유물을 중심으로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리고 미술사학은 예술사적으로 의미 있는 조각, 회화, 건축, 공예 등을 연구하는.. 2023. 4. 29. 우리나라의 어린이 박물관(CHILDREN’S MUSEUM), 어린이 과학관 부모님이시라면 내가 사는 곳 주변에 우리 아이를 위한 어린이 박물관, 어린이 과학관은 없을까? 한번쯤 생각해 보셨을 겁니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 박물관을 정리해 봤습니다. 가장 가까운 어린이 박물관, 또 운영 프로그램이 좋은 어린이 박물관을 비교해 보시고 방문해 보세요. 지역별로 정리했습니다. 서울특별시 어린이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전쟁기념관 어린이박물관 국립어린이과학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국회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경기도 어린이박물관 경기도 어린이박물관 고양 어린이박물관 경기북부 어린이박물관 국립농업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아해박물관 인천광역시 어린이박물관 인천어린이박물관 인천어린이과학관 강원도 어린이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충청북도 어린이박물.. 2023. 4. 28. 영천향교(永川鄕校, Yeong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천향교는 영천시 교촌동에 위치합니다. 향교는 조선시대 당시 군현단위에 세웠는데, 국립교육기관입니다. 영천시에도 향교가 잘 남아 있어서 답사를 하고 그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정리했습니다. 영천향교의 역사 영천향교는 조선시대 1435년(세종 17년)에 대성전이 건립되었습니다. 특이하게도 당시 중국 목수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명륜당은 1546년(명종 1)에 군수 이중량(李仲樑)이 창건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1570년(선조 3년) 9월에 실화로 소실되었고,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3년(선조 36년)에 군수 이유홍(李惟弘)이 동재와 서재를 중수했습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영천향교의 현재 모습 문루는 유래루(牖來樓)이고, 문을 들어서면 정면 10칸의 명륜.. 2023. 4. 24. 불교경전의 새 불교경전에서 말하는 새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새들을 말하는지 그 내용들을 정리했습니다. 불교경전에서는 새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것이 우리 한국말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새를 말하는지 알 수 없어서 찾아봅니다. [대반열반경]의 새 우선 [대반열반경]을 주목해 볼 수 있습니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은 석가모니가 입멸에 드는 모습을 적은 것입니다. 대반열반경에서는 석가모니의 제자와 신중 그리고 많은 미물들이 등장합니다. 이 중에서 새들이 부처님께 예배하는 모습을 설명하는데, 여기에 나오는 새들이 불교관의 모든 새를 대표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아래는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사이트의 한글대장경에서 [대반열반경]에 나오는 새와 관련된 내용을 인용해 봅니다. ‘또 20항하의 모래 수 같은 모든 날.. 2023. 4. 23. 하동향교(河東鄕校) Hadonghyanggyo Local Confucion School 잘 아시다시피 향교는 조선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는 나라에서 세운 관학기관입니다. 각 고장마다 처음 세울 때의 모습을 잘 간직한 곳도 있고, 여러 사정으로 그렇지 못해 향교가 남아있지 않은 고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유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곳이 향교이므로 그 명맥을 유지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동군의 군청이 위치한 하동읍에도 하동향교가 남아 있습니다.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그 역사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하동향교의 역사 하동향교는 태종 15년(1415)에 현재의 고전면 고하리에 창건되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593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에 이경호가 다시 중건하였습니다. 그 후현종 원년(1660)애 횡천면에 복원하였습니다. 영조 6년(1730)에.. 2023. 4. 23. 이전 1 2 3 4 5 ···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