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의 문화재

하동향교(河東鄕校) Hadonghyanggyo Local Confucion School

by happy explorer 2023. 4. 23.
728x90
반응형

잘 아시다시피 향교는 조선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는 나라에서 세운 관학기관입니다. 각 고장마다 처음 세울 때의 모습을 잘 간직한 곳도 있고, 여러 사정으로 그렇지 못해 향교가 남아있지 않은 고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유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곳이 향교이므로 그 명맥을 유지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동군의 군청이 위치한 하동읍에도 하동향교가 남아 있습니다.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그 역사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하동향교의 역사

하동향교는 태종 15년(1415)에 현재의 고전면 고하리에 창건되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593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에 이경호가 다시 중건하였습니다. 그 후현종 원년(1660)애 횡천면에 복원하였습니다. 영조 6(1730)에 부사 정덕명(鄭德鳴)이 횡보면 내기동에서 진답면 나동 성전골로 대성전만 이건 했습니다. 이후 영조 12(1736)에 부사 민진기(閔鎭箕)가 횡천(橫川)으로부터 지금의 자리로 옮겼습니다. 1744년에는 부사 전천상(田天祥)이 나동의 문묘를 현 위치로 옮겼습니다. 그 뒤 헌종 13(1847)1920년에 중수했습니다. 한국전쟁(6.25) 때 소실된 풍화루(風化樓)를 1966년 당시 전교(典校>) 남상수(南相洙)의 주간으로 재건하였고, 서재는 1984년에 지은 것입니다.

 

 

하동향교의 현재모습

하동향교는 1983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곳입니다. 출입문은 풍화루(風化樓)이고, 문에 들어서면 명륜당이 있습니다. 그 앞쪽으로 비대칭으로 동재와 서재가 있습니다. 명륜당 옆으로 난 계단을 오르면 내삼문이 있습니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사당인 대성전과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로 앞쪽에는 학문을 닦는 공간 뒤쪽으로 존현공간이자, 제사를 담당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동향교 전경
하동향교 전경

 

하동향교 풍화루
하동향교 풍화루

 

하동항교 내부공간(전학공간)
하동향교 내부공간(전학공간)

 

하동향교 내삼문
하동향교 내삼문

 

내삼문에서 바라본 내부공간과 하동읍 풍경
내삼문에서 바라본 내부공간과 하동읍 풍경

 

하동향교 양사재
하동향교 양사재

 

하동향교 안내문
하동향교 안내문

 

찾아가는 길

 

하동향교는 동향하였는데, 그 뒤로 나지막한 야산이 있습니다. 그 야산 위에는 하동공원이 있으며, 야산 서쪽으로 섬진강이 감싸고도는 풍경이 좋은 곳입니다. 또 근처에 하동송림(천연기념물)이 있어서 소나무숲에서 힐링하면서, 거닐 수 있습니다. 하동향교의 위치는 아래 지도로 공유해 놓았습니다.

 

http://kko.to/fDlYUDxrp8

 

하동향교

경남 하동군 하동읍 향교2길 5

map.kaka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