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의 문화재

영천향교(永川鄕校, Yeong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by happy explorer 2023. 4. 24.
728x90
반응형

영천향교는 영천시 교촌동에 위치합니다. 향교는 조선시대 당시 군현단위에 세웠는데, 국립교육기관입니다. 영천시에도 향교가 잘 남아 있어서 답사를 하고 그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정리했습니다.

 

영천향교의 역사

영천향교는 조선시대 1435년(세종 17년)에 대성전이 건립되었습니다. 특이하게도 당시 중국 목수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명륜당은 1546(명종 1)에 군수 이중량(李仲樑)이 창건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1570년(선조 3년) 9월에 실화로 소실되었고,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3년(선조 36년)에 군수 이유홍(李惟弘)이 동재와 서재를 중수했습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영천향교의 현재 모습

문루는 유래루(牖來樓)이고, 문을 들어서면 정면 10칸의 명륜당이 있습니다. 그 뒤 내삼문 안에 묘우인 정면 5칸의 대성전이 있습니다. 또한 영천향교 앞에는 삼일재(三一齋)라는 건물이 있습니다. 이곳은 향내 영재를 육영하던 곳으로 맹자 삼락(三樂) 중에 그 하나를 취한 것인데 일명 사마소라 합니다. 이 지역 향사(鄕士)들이 후진을 양성하던 곳으로, 이곳을 거쳐 조선시대 대소과의 과거에 등과 한 후손들이 경비를 각출하고 관의 보조를 받아 건립한 건물입니다.

 

영천향교 전경
영천향교 전경
영천향교 문루 유래루
영천향교 명륜당
영천향교 명륜당
영천향교 내삼문
영천향교 내삼문

 

영천향교 삼일재
영천향교 삼일재

 

영천향교 대성전 (永川鄕校 大成殿) 보물

Daeseongjeon Shrine of Yeong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1435(세종 17)에 대성전을 건립하였고, 1513(중종 8)에 군수 김흠조(金欽祖)가 중수했습니다. 임진왜란 때 사인(士人) 이현남(李顯男)이 대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5성의 위패를 자양면 기룡산(騎龍山)의 성혈암(聖穴巖)으로 옮겨 난을 피하였다가 환안(還安다시 제자리에 모시는 것)하였다고 합니다. 대성전의 규모는 앞면 5·옆면 3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집입니다.

현재 대성전에는 오현(五賢)인 공자(孔子)를 주벽(主壁)으로 하고,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등 사성위(四聖位)와 동서종향(東西從享)에 송조이현(宋朝二賢)인 정호(程顥)와 주희(朱熹), 우리나라의 18현인 신라의 설총(薛聰), 최치원(崔致遠), 고려의 안향(安珦), 정몽주(鄭夢周), 조선의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김인후(金麟厚), 이이(李珥),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 조헌(趙憲),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박세채(朴世采) 25()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 안내문
영천향교 대성전 안내문

 

찾아가는 길

영천향교 주변에는 숭렬당과 조양각, 창대서원 등의 고건축물이 잘 남아있고, 특히 금호강 변 언덕에 위치한 조양각은 풍경이 아름답습니다.

 

http://kko.to/HIrux8IFq0

 

영천향교

경북 영천시 교촌길 34

map.kakao.com

 

 

영천향교는 지금도 옛 전통을 지키며 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하고 있고, 다채로운 교육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 영천향교 홈페이지에 방문해 보세요.

 

http://xn--9d0b618b7uemok.com/

 

영천향교

영천향교,향교체험,전통예절교육,충효교실,석전대제,기로연,유림지도자교육,전통혼례,문화재활용사업

xn--9d0b618b7uemok.com

 

참고문헌: 충효의 고장 영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