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가 신라는 불교가 공인된 이후 불교가 국교가 되면서, 철저히 불교교리에 의해 운영되던 국가였고, 당시의 수도였던 경주시에는 황룡사가 세워졌습니다. 황룡사는 규모면에서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신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찰이었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많은 기록을 남기고 있고, 실제 현대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서 그 내용이 증명되기도 하였습니다. 황룡사의 중요한 역사내용들을 요약 정리했습니다.
황룡사 건립
진흥왕 14년(553)에 월성 동쪽, 용궁 남쪽에 새로운 궁궐을 지으려고 하였으나, 이곳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나 궁궐 짓기를 멈추고, 사찰로 고쳐 지으면서 황룡사라 이름을 지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전합니다. 원래 황룡사지는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이 있는 곳으로 가섭불이란 석가모니 이전에 존재했던 석가모니 같은 존재를 말하며, 석가모니를 포함하여 전에 존재했던 과거불은 모두 7불인데, 황룡사지가 ‘칠처가람지허(七處伽藍之虛)’ 즉, 과거불이 존재했던 7군데 가람 중에 하나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황룡사에는 신라삼보(新羅三寶) 중 2개인 황룡사 장육존상(丈六尊像)과 황룡사 구층목탑(九層木塔)을 보유했던 사찰입니다.
황룡사 연혁
553년(진흥왕 14) 창건
569년 주위 담장 완성
574년 장육존상(丈六尊像) 조성
584년(진평왕 6) 금당 건립
645년(선덕영왕) 구층목탑 완성
718년(성덕왕 17) 구층목탑 벼락으로 화재
754년(경덕왕 13) 황룡사 종 조성
868년 구층목탑 중수
872년(경문왕 12) 구층목탑 중수
1012년 구층목탑 중수
1022년 구층목탑 중수
1064년 구층목탑 중수
1102년(현종) 조유궁(朝遊宮)을 헐어 그 재목으로 구층목탑을 수리
1238년(고종 25) 몽고병화로 황룡사 모두 소실
황룡사지 발굴조사
황룡사지에 대한 조사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당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1976년부터 1983년까지 8년에 걸쳐 이루어졌고,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주변부에 대한 조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조사를 통해서 가람배치가 크게 창건가람, 중건가람, 최종가람의 3단계로 변모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중심사역은 처음에는 강당, 금당, 탑, 중문을 남북으로 길게 일 열로 배치한 1금당 1탑식 가람이었으나, 이후 금당 3개를 나란히 둔 3금당 1탑식의 가람이며, 중문과 탑 사이 양쪽에 경루(經樓)와 종루(鍾樓)를 두었음을 밝혀냈습니다. 당시 조사에서 무려 4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금당지는 정면 9칸 측면 4칸으로 현재 불상이 남아있지 않지만, 불상의 다리와 광배를 끼웠던 촉이 있는 자연석 받침석이 지금도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금당지에 놓였던 석재들로 보아 석가의 10대 제자와 인왕상 2구씩이 배치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황룡사 구층목탑(Hwangnyongsa Temple Site Nine-Story Wooden Pagoda)
당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자장(慈藏)의 권유로 선덕여왕대 백제 기술자인 아비지(阿非知)를 초청하여 645년에 9층목탑을 완성시킵니다. 이 9층탑은 불력(佛力)으로 주변국의 침략을 막아 나라를 지킨다는 뜻에서 세운 것으로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中華), 3층은 오월(吳越), 4층은 탁라(托羅), 5층은 응유(鷹遊), 6층은 말갈(靺鞨), 7층은 단국(丹國), 8층은 여적(女狄), 9층은 예맥(濊貊)에 대항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평면형태는 정면 7칸, 측면 7칸입니다. 기록에는 전체높이가 225척이라 되어 있는데, 그 높이에 대해서는 당시 사용하던 척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략 탑신부는 약 65m, 상륜부 약 15m, 전체 높이 80m에 달하는 목탑을 지었습니다.
황룡사구층목탑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金銅刹柱本記, Engraved Gilt-bronze Plaques from the Nine-story Wooden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찰주본기는 사리장엄구의 내함에 쓰인 당시 기록입니다. 사리장엄구는 원래 목탑지 심초석 아래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원래 1964년까지 민가가 있었기 때문에 민가의 담장으로 사용되어 잘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조사하려고 토지수용 등 민가를 철거하자, 1964년 도굴범들에 의해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도 1966년 범인들과 사리장엄구를 되찾게 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사리장엄구는 금동외함과 금동내함이 있고, 이외에도 불상대좌와 옥개만 남아있는 은제사리탑, 금동8각사리탑, 청동방함, 은제원합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사리기 금동내함의 3면에 황룡사에 관한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황룡사구층목탑은 유학에서 돌아온 자장법사의 권유로 643년 백제 장인 아비지(阿非知)와 이간(伊干) 용춘(龍春)이 200명을 거느리고 2년 동안 작업하여 645년(선덕여왕 14)에 완성했다고 합니다. 또 이 탑은 872년(경문왕 12)에 완전히 새로 지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즉, 871년부터 872년까지의 중수과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무구정광다리니경(無垢淨光陀羅尼經)에 의거하여 철반 위에 작은 석탑 99기를 만들어 탑마다 사리 1립과 다라니 4종을 안치했습니다.
황룡사장육존상(皇龍寺丈六尊像)
황룡사장육존상에 대해서는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인도의 아소카왕이 석가삼존불을 만들려고 했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해 황금 3만분과 황철 5만7천근, 그리고 석가삼존의 모형을 배에 실어 바다로 띄우면서 인연이 있는 나라에서 장육존상이 조성되기를 축원했으며, 이것이 경주에 이르러 574년에 완성되었다고 한 것입니다. 이때 장육존상의 무게는 3만5,007근이고, 황금 1만 198분이 들었고, 양 보살상은 철 1만2,000근과 황금 1만 136분이 들었다고 합니다. 또 배에 석가삼존의 모형을 실어 보냈다고 하므로, 황룡사에 지어진 장육존상은 당시 인도의 불상과 닮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황룡사대종
삼국유사에서는 경덕왕 13년(754)에 구리 49만 7,581근으로 종을 만들었습니다. 이 정도 규모는 지금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봉덕사종(奉德寺鐘)’의 약 3배 크기에 달하는 것입니다.
황룡사역사문화관
황룡사역사문화관은 황룡사지 서쪽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는 전시관입니다. 황룡사지의 연구와 발굴조사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내부에는 황룡사 건립부터 소실까지의 과정을 담은 3D 영상 시청각실, 발굴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한 신라 역사전시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층에는 황룡사 9층 목탑을 10분의 1 크기로 재현한 모형탑도 전시되어 있고, 모형탑 전시실 옆에는 황룡사지가 창밖으로 내다보이는 로비 카페가 있습니다.
휴무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 당일, 추석 당일
개관시간: 하절기 9:00~18:00
동절기: 9:00~17:00
입장료: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500원
황룡사지 서편 사지(寺址)
황룡사 서편, 황룡사역사문화관 남편에 작은 이름모를 절터가 또 하나 있습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좌우 석탑이 있는 1금당 2탑식의 가람배치를 한 사찰 터입니다. 서탑은 탑의 옥개석만 남아 있고, 동탑에는 탑신석이 남아있는데, 4면에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조상되어 있습니다.
![]() |
![]() |
![]() |
![]() |
황룡사 서편 사지 동탑 사천왕상
황룡사지의 보존
황룡사지의 면적은 약 38만㎡인데, 현재는 대한민국 사적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되었습니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경주시에서 중요한 유적 5개의 밀집지역이 합쳐진 것입니다. 그 5개 지역은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남산지구, 대릉원지구, 산성지구입니다. 황룡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중 별도로 황룡사지구로 등재되어 있을 정도로 중요한 유적입니다.
황룡사지 위치
황룡사지 주차장의 위치입니다.
경주황룡사역사문화관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주의사항
지금까지 설명해 드린 황룡사지(皇龍寺址) 외에 경주시에는 황룡동 황룡곡에 동음의 황룡사(黃龍寺)라는 사찰이 있습니다. 이 사찰에도 신라시대에 지어진 사찰터가 남아 있으므로 헷갈리지 마세요.
참고문헌: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4, 황룡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I
'☞ 경주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Gyeongju) (0) | 2023.06.06 |
---|---|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상(慶州 南山 列岩谷 磨崖佛像, Standing Buddha Carved on a Rock at Yeolamgok, Gyengju) (0) | 2023.06.04 |
경주 금장대(金藏臺) (0) | 2023.05.14 |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0) | 2023.04.17 |
경주 안강읍 옥산서원 무변루 명문기와(慶州 安康邑 玉山書院 無邊樓 銘文瓦)roof-end tiles, 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 (0) | 202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