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낭산에 위치한 선덕여왕릉을 보겠습니다. 앞서 여러 번 밝혔듯이 신라에 있어서 낭산은 매우 중요한 장소였습니다. 그래서 선덕여왕릉, 사천왕사지, 능지탑(陵只塔), 황복사지 등 여러 유적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은 낭산 남쪽의 해발 99.5m 정도의 낮은 구릉 정상부에 위치합니다. 외형은 원형봉토분으로 밑둘레 부분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2~3단 정도 쌓았습니다. 이는 1949년에 보수한 것이라 합니다. 난간석 등 장식물은 없습니다. 그리고 내부 구조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봉분의 외부 형태로 보아 굴식 돌방무덤(橫穴式 石室墳)이라 추정됩니다. 신라왕들의 무덤 위치에 관해서는 왕릉 내에서 혹은 주변에서 왕릉 이름이 새겨진 지석이나 유물, 명문이 새겨진 것이 없어서 상당수 추측에 의한 것입니다. 그런데, 몇 예는 과거 기록을 참조하거나 확실한 물적 자료가 확보되어 왕릉의 이름이 부여하였는데, 선덕여왕릉은 그중 한 곳입니다.
선덕여왕
신라에는 27대 선덕왕(善德王, 재위기간 632~647)과 37대 선덕왕(宣德王, 재위기간 780~785) 두 분이 계십니다. 27대 선덕왕이 선덕여왕입니다. 선덕여왕의 재위기간에서 알 수 있듯이 여왕이면서 삼국통일 전 삼국 간의 경쟁이 치열할 때 왕이 되었습니다. 신라의 왕위계승의 원칙은 골품제(骨品制)를 근간으로 합니다. 그런데, 선덕여왕의 아버지인 진평왕은 마지막 남자 성골(聖骨)입니다. 그래서 성골이었던 진평왕의 딸이 왕이 되게 됩니다.
선덕여왕의 재위기간은 16년이지만, 이 사이 많은 일이 일어나게 됩니다. 선덕여왕의 이름은 덕만(德曼)이고, 진평왕의 맏딸입니다. 어머니는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입니다. 즉위 3년째부터 인평(仁平)이라는 신라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선덕여왕 대에 많은 불사가 이루어집니다. 3년(634) 분황사(芬皇寺) 완성, 4년(635) 영묘사(靈廟寺) 완성, 14년(645) 황룡사탑 완성 등입니다. 특히 자장법사(慈藏法師)의 요청에 따라 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을 창건하게 됩니다. 또한 첨성대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재위기간 내내 백제 그리고 고구려와 크고 작은 전쟁이 있었는데, 선덕여왕 11년(634)에는 백제 의자왕에게 서쪽의 무려 40여 성을 빼앗기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당나라와의 친선을 유지하였고, 내부적으로는 자장, 의상, 김유신, 김춘추 등과 같은 인물들이 활약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삼국유사에 적힌 선덕여왕 지기삼사(知幾三事)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의 현명함을 기록한 ‘선덕여왕 지기삼사(善德女王 知幾三事)’에 대하여 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당 태종이 모란꽃 그림과 씨앗을 보내왔는데, 선덕여왕이 “그 꽃은 향기가 없을 것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그 씨앗을 심어 꽃이 지도록 기다렸는데, 진짜 향기가 나지 않는 꽃이었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영묘사 옥문지(玉門池)에서 많은 개구리가 우는 모습을 보고, 왕이 각간 알천(閼川)과 필탄(弼呑) 등에게 왕경 서쪽에 있는 여근곡(女根谷)으로 가 숨어있는 적병을 죽이라 한 것입니다. 왕의 말대로 여근곡에는 백제 병사들이 숨어 있었습니다.
셋 번째는 왕이 본인이 죽을 때 도리천(忉利天) 가운데 묻어줄 것을 말했고, 신하들이 장소를 물으니, 낭산의 남쪽이라 했습니다. 실제 낭산의 남쪽에 장사 지냈습니다. 이후 문무대왕 때 낭산 아래쪽에 사천왕사를 짓게 되므로, 불교에서 말하는 사천왕천 위에 도리천이 있는 것과 같이 된 것입니다. 즉, 앞으로 사천왕사가 낭산 아래에 지어질 것이라는 것을 예견한 것입니다.
경주선덕여왕릉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낭산(狼山)을 답사하게 되면, 사천왕사도 보고, 그 뒷길로 산을 조금 오르면 선덕여왕릉이 있습니다.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 (tistory.com)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
사천왕사지는 행정구역상 경주시 배반동에 위치합니다. 이 유적의 공식명칭은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입니다. 경주시를 방문하면 역사나 문화재에 관심
ruins.tistory.com
'☞ 경주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0) | 2023.04.17 |
---|---|
경주 안강읍 옥산서원 무변루 명문기와(慶州 安康邑 玉山書院 無邊樓 銘文瓦)roof-end tiles, 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Gyeongju (0) | 2023.04.13 |
경주 사천왕사지(慶州 四天王寺址, Sacheonwangsa Temple Site, Gyeongju) (0) | 2023.04.09 |
경주 보문사지(普門寺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0) | 2023.04.05 |
경주 진평왕릉(眞平王陵)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