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주시의 문화재

경주 진평왕릉(眞平王陵)

by happy explorer 2023. 4. 4.
728x90
반응형

 

진평왕릉의 현재 모습과 진평왕 대 있었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왕릉은 현재 행정구역상 경주시 보문동에 위치합니다. 이곳에는 보문들이라고 하는 넓은 평지가 있는데, 평지 중에서도 약간 높은 부분에 위치합니다.

 

진평왕릉의 현황

이 봉분은 진평왕의 무덤이라 추정되어 사적으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무덤 봉분의 높이는 약 7~8m라 합니다. 내부구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라 추정됩니다.

 

진평왕 대 있었던 일

신라 제26대 진평왕(眞平王, 재위기간 579~632)무려 56년 동안 왕을 했습니다. 특이한 점은 진평왕의 아버지는 진흥왕의 첫째 아들임에도 왕이 못되고,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 제25대 진지왕(眞智王)이 됩니다. 그러나 진지왕은 불과 4년 만에 죽게 되고, 다시 진흥왕의 장손인 백정이 제26대 진평왕이 된다는 점입니다.

진평왕의 이름은 백정(伯淨)이고, 아버지는 진흥왕의 첫째 아들 동륜(銅輪)입니다. 어머니는 김씨 만호부인(萬呼夫人)으로 갈문왕 입종의 딸입니다. 또 아내는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으로 갈문왕 복승(福勝)의 딸입니다.

진평왕 대에는 재위기간이 길어서 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특히 고구려와 백제와의 분쟁 사실이 많이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전쟁기록은 제외하였고, 삼국사기의 연대별 기사 중에 제가 흥미를 느끼는 몇 구절에 대하여 옮겨 보겠습니다.

6(584) 2월에 연호를 건복(建福)으로 바꾸었다.

11(589) 3월에 원광법사(圓光法師)가 불법을 배우러 진나라에 들어갔다.

13(591) 가을 7월에 남산성(南山城)을 쌓았는데, 둘레가 2,854보였다.

15(593) 7월에 명활성을 고쳐 쌓았는데, 둘레가 3천 보이고, 서형산성(西兄山城)은 둘레가 2천 보이다.

18(596) 겨울 10월에 영흥사(永興寺)에 불이 났다.

19(597) 삼랑사(三郞寺)가 완성되었다.

36(614) 영흥사 흙으로 만든 불상이 저절로 무너지더니 얼마 안 있어 진흥왕비인 비구니가 죽었다.

37(615) 겨울 10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50(628) 여름에 크게 가물어 시장을 옮기고, 용을 그려 비 내리기를 빌었다.

53(631) 칠숙과 석품이 반란을 일으켜, 칠숙을 붙잡아 동시(東市)에서 목을 베고, 구족(九族)을 멸하였다.

54(632) 봄 정월에 왕이 죽어 시호를 진평(眞平)이라 하고 한지(漢只)에 장사지냈다.

 

진평왕 대에는 많은 일이 있어서 여러 가지 역사적 의의가 있겠지만, 제가 흥미롭게 본 기사를 뽑아 보았습니다. 위 기록 중에 특히 주목되는 점은 신라 독자 연호인 건복(建福)을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또 성의 축조, 사찰의 창건, 자연재해 등입니다. 

 

삼국유사에 적힌 진평왕

삼국유사에서는 진평왕은 키가 11자의 거구라 하였습니다. 왕이 즉위한 해에 천사가 궁중 뜰에 내려와서 상제(上帝)가 주는 옥대玉帶)를 전했다고 합니다. 그 후 고구려왕이 신라를 치면서 신라에는 세 가지 보배가 있어서 침범할 수 없다는데 무엇인가하고 물으니 신하들이 황룡사장육존상(皇龍寺丈六尊像), 황룡사구층탑(皇龍寺九層塔), 진평왕천사옥대(眞平王 天使玉帶)입니다라 하여 고구려왕은 이 말을 듣고 침략을 그만두었다고 합니다.

위의 세 가지가 신라삼보(新羅三寶)입니다

 

진평왕릉
진평왕릉
진평왕릉 안내문
진평왕릉 안내문
진평왕릉 풍경
진평왕릉 풍경

 

진평왕릉은 주차장도 잘 되어있고, 사방이 탁 트였지만, 진평왕릉의 봉분과 고목들이 어우러져 평안한 느낌을 주는 장소로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유적입니다.

 

http://kko.to/nHHWstAhjH

 

진평왕릉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가까이 보문사지도 방문하세요.

 

경주 보문사지(普門寺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tistory.com)

 

경주 보문사지(普門寺址), Temple Site in Bomun-dong, Gyeongju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보문사지에 대하여 포스팅합니다. 보문사지의 공식 명칭은 '경주 보문리사지' 였다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니, 2011년에 '경주 보문동 사지(慶州 普門洞 寺址,

ruins.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