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주시의 문화재

경주 월정교(月淨橋 Gyeongju Woljeonggyo Bridge)

by happy explorer 2024. 9. 7.
728x90
반응형

경주시 월성(月城, Wolseong Palace Site)의 서남쪽, 남천(南川)에 월정교지가 있습니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 교촌마을로 이어지는 일정로를 따라가면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경주 춘향교지와 월정교지라는 사적지입니다. 월정교는 원래 교각터만 남아있는 것을 조사과정에서 교각의 아래쪽 19m 지점에서 월정교의 목조가구가 노출되어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시작하였고,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교각과 누교, 다리 양쪽에 문루를 갖춘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남쪽 문루에는 김생의 글씨체를 따온 현판이 북쪽 문루에는 최치원의 글씨체를 따온 현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경주 월정교의 역사

삼국사기에는 신라 경덕왕 19(760)에 궁의 남쪽 문천(蚊川)에 월정(月淨), 춘양(春陽) 두 다리를 놓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후 조선시대에 편찬된 동경잡기(東京雜記, 1669)에서는 월정교의 한자가 월정(月淨)에서 월정(月精)으로 바뀌어 표기되어 있지만, 그 터만 남아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월정교는 고려시대 시인 김극기(金克己)의 시에 ‘虹橋倒影熙蚊川(‘虹橋倒影熙蚊川(무지개다리 그림자가 문천에 비치었다)’라는 시구로 묘사되어 있고, 충열왕 6(1280)년 경주부유수로 있던 노경윤(盧景倫)이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래서 늦어도 1280년경에는 존재했던 다리입니다.

 

경주 월정교의 규모

1984년부터 시작된 조사를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게 된 것입니다. 주변에 남아 있던 목조가구에 대한 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석조구조물들의 모습을 밝혀 냈습니다. 발굴조사에서는 처마형석재와 난간형석재, 그리고 귀틀형석재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다리 양쪽의 교대와 날개벽 그리고 쌘 물살에도 견딜 수 있는 4개의 주형교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체목교의 길이는 약 63m입니다.

 

경주 월정교 주변 볼거리

월정교의 주변에는 경주 월성뿐 아니라 교촌마을, 남쪽으로는 천관사지(天官寺址)와 인용사지(仁容寺址)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월정교는 야경도 아름답습니다.

 

경주 월정교 전경
경주 월정교 전경
경주 월정교 남쪽 문루
경주 월정교 남쪽 문루
경주 월정교 남쪽 김생의 글씨체
경주 월정교 남쪽 김생의 글씨체
월정교 안내문
월정교 안내문
월정교 내부
월정교 내부
월정교 목조가구
월정교 목조가구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tistory.com)

 

경주향교(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경주향교는 경주에서 핫플레이스 중 한 곳인 경주 교동 교촌마을에 있습니다. 바로 옆에는 교동최씨고택, 동쪽으로는 월성, 북동쪽으로는 경주 계림, 북쪽으로는 경주 동부사적지대, 남쪽으로

ruins.tistory.com

 

https://kko.to/bkZXOgfEKV

 

월정교

지도위에서 위치를 확인하세요

map.kakao.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