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한국의 문화재11 영천향교(永川鄕校, Yeong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천향교는 영천시 교촌동에 위치합니다. 향교는 조선시대 당시 군현단위에 세웠는데, 국립교육기관입니다. 영천시에도 향교가 잘 남아 있어서 답사를 하고 그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정리했습니다. 영천향교의 역사 영천향교는 조선시대 1435년(세종 17년)에 대성전이 건립되었습니다. 특이하게도 당시 중국 목수에 의해 건립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명륜당은 1546년(명종 1)에 군수 이중량(李仲樑)이 창건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1570년(선조 3년) 9월에 실화로 소실되었고,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3년(선조 36년)에 군수 이유홍(李惟弘)이 동재와 서재를 중수했습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로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영천향교의 현재 모습 문루는 유래루(牖來樓)이고, 문을 들어서면 정면 10칸의 명륜.. 2023. 4. 24. 하동향교(河東鄕校) Hadonghyanggyo Local Confucion School 잘 아시다시피 향교는 조선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는 나라에서 세운 관학기관입니다. 각 고장마다 처음 세울 때의 모습을 잘 간직한 곳도 있고, 여러 사정으로 그렇지 못해 향교가 남아있지 않은 고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유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곳이 향교이므로 그 명맥을 유지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동군의 군청이 위치한 하동읍에도 하동향교가 남아 있습니다. 매우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그 역사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하동향교의 역사 하동향교는 태종 15년(1415)에 현재의 고전면 고하리에 창건되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593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에 이경호가 다시 중건하였습니다. 그 후현종 원년(1660)애 횡천면에 복원하였습니다. 영조 6년(1730)에.. 2023. 4. 23. 영천 귀애정(永川 龜厓亭)과 귀애고택 귀애정은 영천시 화남면 귀호리(龜湖里)에 위치한 조선시대 정자입니다. 현재 화남면 행정복지센터와는 직선거리로 약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2013년에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귀애정과 귀애고택은 같이 있습니다. 이곳은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조선시대의 선비의 운치도 느낄 수 있는 곳입니다. 귀애정 조선후기 문신인 조극승(1803~1877)을 추앙하기 위해 그의 동생 성재 조규승이 지은 정자입니다. 두 사람은 많은 관직을 지냈으나 말년에는 고향에서 지내며 후학을 가르치는데 힘썼던 인물들입니다. 조극승은 귀호리에서 조경섭(曺暻燮)의 맏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순조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돈령부 도정을 역임하고, 공조참의를 제수받은 인물입니다. 귀애정이 .. 2023. 4. 17.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永川 慶州金氏 知事公宗宅)과 임고면 황강리 남강정사(南岡精舍) 영천시에는 조선시대 고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 중 임고면 황강리(黃岡里)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과 남강정사를 답사해 보았습니다.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은 1999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37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곳 지사공종택에서 남쪽으로 100m 정도 떨어져 있는 남강정사도 함께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 영천 경주김씨 지사공종택은 조선 중종 때 중추부지사를 지낸 김흡(金潝)의 종가로 원래는 김흡이 지었으나, 화적 떼에 의해 없어진 것을 19세기 초 자손들이 다시 지었다고 합니다. 대문은 솟을대문입니다. 뒤쪽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노항(魯巷) 김연(金演, 1552∼1592)의 사당과 신도비가 있습니다. 마을 입구에는 김연의 아들 김취려가 강학했던 .. 2023. 4. 11. 하남 춘궁동 동사지 2023. 2. 25. 보은 삼년산성 2023. 2. 25. 하동 묵계사 2023. 2. 25. 영천 임고서원(永川 臨皐書院) 영천시에서 꼭 가봐야 할 명소 임고서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임고서원은 고려말의 충신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書院)이며,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에 있습니다. 임고서원의 주변은 현재 임고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임고면의 중심지역이기도 합니다. 서원이란 조선시대 전국에 세워졌던 서원은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사당, 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인 강당, 유생들이 공부하며 숙식하는 공간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중심건물 외에도 문집이나 서적을 펴내는 장판고(藏版庫), 이를 보관하는 서고, 서원의 관리 및 유생들의 식사준비 등 생활 전반을 뒷받침해 주는 교직사(校直舍), 제사에 필요한 그릇을 보관하는 제기고(祭器庫), 시문을 짓고 대담을 하는.. 2023. 2. 24. 산청 단속사지 2023. 2. 18.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