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의 문화재

영천 임고서원(永川 臨皐書院)

by happy explorer 2023. 2. 24.
728x90
반응형

영천시에서 꼭 가봐야 할 명소 임고서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임고서원은 고려말의 충신인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書院)이며,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에 있습니다. 임고서원의 주변은 현재 임고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임고면의 중심지역이기도 합니다.

 

서원이란

조선시대 전국에 세워졌던 서원은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사당, 교육을 담당하는 공간인 강당, 유생들이 공부하며 숙식하는 공간인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중심건물 외에도 문집이나 서적을 펴내는 장판고(藏版庫), 이를 보관하는 서고, 서원의 관리 및 유생들의 식사준비 등 생활 전반을 뒷받침해 주는 교직사(校直舍), 제사에 필요한 그릇을 보관하는 제기고(祭器庫), 시문을 짓고 대담을 하는 누각 등의 부속건물이 있습니다.

 

임고서원의 모습

지금 임고서원의 묘우는 문충사(文忠祠), 내삼문은 유정문(由正門), 강당은 흥문당(興文堂), 동협은 경의협(敬義夾), 서협은 명성협(明誠夾), 동재는 수성재(修省齋), 서재는 함육재(涵育齋), 문루는 영광루(永光樓)입니다. 그리고 경내에는 심진각(尋眞閣)과 전사청(典祀廳), 포은 선생 신도비(神道碑)‚ 단심가비(丹心歌碑), 백로가비(白鷺歌碑) 등이 있습니다.

임고서원은 조선시대 명종(明宗) 8(1553)에 노수(盧遂), 김응생(金應生), 정윤량(鄭允良), 정거(鄭琚) 등의 유림들이 부래산(浮來山)에 창건을 시작하여 이듬해인 1554년에 준공하였으며, 명종으로부터 사서오경과 많은 위전(位田)을 하사 받은 사액서원입니다. 최초에는 임고면 우항리의 생가 인근의 부래산(浮來山)에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6(1603) 현 위치에 이건(移建)하여 재사액(再賜額) 받았는데, 그게 왼쪽에 남아있는 구서원입니다. 인조 21(1643)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하고, 정조 11(1787)에는 지봉(芝峰) 황보인(皇甫仁)을 추배하였으며, 고종 8(1871)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습니다. 그러나 고종 16(1879)에 존영각(尊影閣)을 건립하여 영정을 봉안하게 됩니다.

현재의 서원은 1965년에 복원하여 포은 선생만 복향하고, 1980년부터 1999년까지 1차 성역화사업을 마쳤다고 합니다. 이후 2001년 지봉(芝峰) 황보인(皇甫仁)을 다시 배향했습니다. 임고서원 바로 앞에는 포은유물관과 개성에 있는 선죽교를 똑같이 만들어 놨습니다.

 

포은 정몽주

포은 정몽주 선생은 잘 알려져 있듯이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와 뜻을 같이 했지만, 고려왕조를 유지하려는 쪽이었습니다. 결국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의 주도로 살해당하게 됩니다. 포은 정몽주 선생은 영천에서 태어나 개성에서 죽었고, 그의 무덤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능곡로)에 있습니다.

 

임고서원 전경
임고서원 전경
임고서원 영광루
임고서원 영광루
임고서원 안내문
임고서원 안내문
임고서원 전체 안내도
임고서원 전체 안내도

 

계현재(啓賢齋)

앞에 서서 서원을 바라보면, 정면의 새로 지은 서원, 왼쪽에 구서원이 있습니다. 주차장 넘어 오른쪽에는 계현재(啓賢齋)가 있습니다. 계현재는 원래 정몽주 부친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재사인데, 기존의 건물을 철거하고 지금의 자리에 새로 지은 것이라 합니다.

 

계현재 전경
계현재 전경
계현재 사적비
계현재 사적비

 

영천시 임고면에는 조선시대의 고택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임고서원과 고택들을 함께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 한국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은 삼년산성  (0) 2023.02.25
하동 묵계사  (0) 2023.02.25
산청 단속사지  (0) 2023.02.18
청도 대비사(大悲寺)와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0) 2023.02.16
공주 공산성  (0) 202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