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한국의 문화재11 청도 대비사(大悲寺)와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청도 대비사는 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길 590)박곡리 794번지에 위치합니다. 박곡마을에서 대비저수지를 감고 도는 박곡길로 가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청도 대비사의 역사와 문화재 대비사는 신라 진흥왕18년(577) 신승이 세우고, 신라 진평왕 22년(600)에 원광법사가 중창하였다고 하며, 고려 인종 때 원응스님이 중창하였다고 합니다. 경내에는 보물 제834호인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 요사채와 종무소가 있으며, 산쪽에는 삼성각이 있습니다. 대비사에는 대웅전(보물 제834호)과 보물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보물 제1957호), 청도 대비사 석조석가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등이 있습니다. 대웅전은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건물로 지붕은 맞배지붕입니다. 처마의 공포(.. 2023. 2. 16. 공주 공산성 충청남도 공주시는 백제가 한성에서 A.D 475년 천도한 후 부여로 천도하기 전까지 백제의 도읍이었던 곳입니다. 삼국시대 당시에는 웅진성(熊津城)이라 불리웠으니, 당연히 웅진기 백제라는 용어도 만들어진 것이죠. 공주는 백제 때부터 지금까지도 이 일대 행정의 중심지이죠. 공산성은 공주시를 흐르는 금강변 야산의 능선을 들러 쌓은 포곡식(包谷式)산성입니다. 1960년대 이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관리되었습니다. 2015년에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되면서 백제유적의 가치가 더욱 증명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백제역사유적지구 – 유네스코와 유산 (unesco.or.kr) 2023. 2. 5.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