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

파키스탄 갈리가이 불상(ghalaigai buddha) 파키스탄 갈리가이(ghalaigai) 불상입니다. 20년 전 슬라이드 사진인데, 좀 정리해서 다시 올릴게요^^ 기억이 잘 안 나요..ㅜㅜ 2023. 2. 5.
경주유적답사 분황사 당간지주 분황사는 신라 선덕여왕3년(634)에 창건된 사찰입니다. 분황사 내부와 그 주변부에 대해서는 이미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지금보다 규모가 더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분황사에는 많은 문화재와 많은 이야기 기록이 남아 있죠. 분황사 정문 앞쪽에 분황사 당간지주가 위치하고 있어요. 2023. 2. 4.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백암산성 중국에 있는 고구려 백암산성입니다. 2023. 2. 3.
경주읍성(慶州邑城) 경주시내에 위치한 경주읍성은 경주시 시내를 하루코스로 경주유적답사하기 좋은 곳입니다. 경주읍성은 경주 시내 중앙인 중부동에 위치합니다. 읍성의 규모는 약 동서 600m, 남북 600m입니다. 축조시기 정확한 축조연대는 알 수 없지만, "고려사" 기록에 따르면 고려 현종 1012년에 경주방어사를 두면서 처음 축조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축조연대를 정확히 남기고 있는 기록은 "동경통지"입니다. ‘읍성의 시축연대는 불명이고, 고려 우왕 1378년에 개축하니 둘레가 4,075척, 높이가 약 12척 7촌으로 돌로써 축조되었다’라 하고 있어요. 시설물 성문은 동쪽에 향일문(向日門), 서쪽에 망미문(望美門), 남쪽에 징례문(징禮門), 북쪽에 공진문(拱辰門)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동문과 동문 주변 약 200m 정도.. 2023. 2. 3.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고검지산성 중국에 있는 고구려 산성입니다. 2023. 2. 2.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오녀산성 중국에 있는 고구려 산성 2023. 2. 2.
막새 용어 오늘은 암막새의 덩굴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막새에는 암막새와 수막새 2종류가 있어요. 그리고 막새는 드림새와 등기와를 접합시켜 제작하죠. 막새의 구조적 용어보다는 암막새 덩굴문 용어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이전에는 암막새에 표현된 덩굴무늬를 당초문(唐草文, 唐草紋)이라 했었는데, 최근에는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취지에서 덩굴문, 덩굴무늬라 많이 사용합니다. 덩굴무늬는 넝쿨무늬라고도 하죠. 그런데 덩쿨문이란 용어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덩쿨문이란 단어는 바른말이다 틀린말이다 딱 단정할 수 없지만, 많이 사용하지는 않아요. 덩굴문의 세부용어 암막새에 표현된 덩굴문의 세부를 표현할려면 아래 예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요. 주지(主枝) : 주줄기 분지(分枝) : 갈래줄기 단지(短枝) : 주지 혹은 분지에서 홀로.. 2023. 2. 2.
분황사 출토 전돌 분황사에서 출토된 전돌을 연달아 배치하면 이런 모습이 된답니다. 2023. 1. 31.
경주 송선리 마애불 단석산에 위치한 높이 약 6.8m의 마애불입니다. 암벽면에 불상이 배치될 자리를 거칠게 다듬어 저부조로 조성하였다. 2018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되기 전에는 상제암 마애여래좌상으로 불렸다.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에서 북쪽으로 약 2km 정도 떨어져 있어요. ※ 참고로 산행이 힘드신 분들은 올라가지 않는 게 좋겠어요. 2023. 1.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