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왕의 순서를 재위기간을 기준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발해는 698년부터 906년까지 228년간 15대 왕이 있었습니다.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계 유민과 말갈족으로 구성된 국가이고, 지리적으로는 한반도 북부, 만주, 연해주(러시아 연방 시베리아 동해의 연안에 있는 지방 이름) 일대를 점유했던 국가로서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회복하고, 더 넓은 영토를 가졌던 나라입니다.

발해는 698년 대조영(大祚榮)이 건국했습니다. 지금의 지린성(吉林省) 둔화현(敦化縣) 동모산(東牟山)에 성을 쌓고 도읍을 정했습니다. 국호는 진(震)이라 하였고, 이후 713년에 국호를 발해로 바꿨습니다. 발해에 대해서는 사료가 부족해서 10대 선왕 이후부터는 묘호조차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발해의 영토
현재 역사학계에서는 발해의 영토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발해의 영역이 현재의 중국, 러시아, 북한에 걸쳐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발해의 5경(京)에 대하여
상경용천부는 중국(中国)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닝안시(黑龙江省牡丹江市宁安市)
동경용원부는 중국(中国) 지린성 훈춘시(吉林省珲春市) 반라성 혹은 팔련성설
중경현덕부는 중국(中国) 지린성 허룽시(吉林省和龍市) 서고성자 추정
서경압록부는 중국(中国) 지린성 린창시(吉林省临江市) 일대 설, 중국 지린성 지안시(集安市) 설
남경남해부는 북한 함경남도 함흥시설, 함경남도 영광군 백운산성설, 함경남도 북청군 청해토성설, 함경북도 경성군 남산성설 등입니다.
이상과 같이 상경용천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4경(京)은 이설이 있습니다.
발해왕 순서
재위기간 | 왕 | 이름 | 왕위계승 | 사건 |
698-719 | 1대 고왕 (高王) |
대조영 | 지린성 동모산에 도읍 국호 진(震) 발해(渤海)라 함(713) |
|
719-737 | 2대 무왕 (武王) |
대무예 | 대조영의 아들 | 당나라 등주(登州) 공격(732) |
737-793 | 3대 문왕 (文王) |
대흠무 | 무왕의 아들 | 중경현덕부로 천도(747-751) 상경용천부로 천도(755) 동경용원부로 천도(785) |
793-793 | 4대 대원의 (大元義) |
대원의 | 문왕의 친척 동생 | |
793-794 | 5대 성왕 (成王) |
대화여 | 문왕의 손자 | 상경용천부로 천도(793-794) |
794-809 | 6대 강왕 (康王) |
대숭린 | 문왕의 막내아들 | |
809-812 | 7대 정왕 (定王) |
대원유 | 강왕의 아들 | |
812-817 | 8대 희왕 (僖王) |
대원의 | 강왕의 아들 | |
817-818 | 9대 간왕 (簡王) |
대명충 | 강왕의 아들 | |
818-830 | 10대 선왕 (宣王) |
대인수 | 대조영의 동생인 대야발의 4대손 | 5경 12부 62주라 함 |
830-857 | 11대 대이진 (大彛震) |
대이진 | 선왕의 손자 | |
857-871 | 12대 대건황 (大虔晃) |
대건황 | 대이진의 동생 | |
871-894 | 13대 대현석 (大玄錫) |
대현석 | 대건황의 동생 | |
894-906 | 14대 대위해 (大瑋瑎) |
대위해 | - | |
906-926 | 15대 대인선 (大諲譔) |
대인선 | - | 거란(요나라)에게 멸망 |
'☞ 역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역사 연대표 (0) | 2023.03.18 |
---|---|
고려시대 연호(고려시대 사용 연호) (2) | 2023.03.14 |
고려시대(高麗時代)왕 계보-순서 (1) | 2023.03.09 |
백제(百濟)왕 계보-순서 (0) | 2023.03.07 |
고구려(高句麗)왕 계보-순서 (0) | 2023.03.06 |